연천 버스 18

최근 수정 시각: ()

1. 노선 정보2. 개요3. 역사4. 특징

1. 노선 정보 [편집]

연천군 일반형버스 18번
기점
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(전곡시외버스터미널)
종점
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(신산리공원)
종점행
첫차
06:10
기점행
첫차
06:50
막차
22:00
막차
22:45
배차간격
20~40분
운수사명
인가대수
14대
노선
전곡시외버스터미널 - 농협사거리 - 전곡리선사유적지 - 한탄강유원지 - 고능리 - 성지금속 - 늘목2리 - 구보건소앞 - 순박골.늘목1리 - 황방리고개 - 조소앙선생기념관입구 - 봉암저수지 - 용바위골 - 봉암터미널.봉암리 - 한산2리마을회관 - 남면소방서 - 신리.막은골삼거리 - 고의원앞 - 구)신산약방 - 신산리공원
연천군 일반형버스 18-1번
기점
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(전곡시외버스터미널)
종점
경기도 양즌시 남면 신신리 (신산리공원)
종점행
첫차
06:30
기점행
첫차
07:06
막차
22:30
막차
23:07
배차간격
60~150분 (1일 19회)
운수사명
인가대수
2대
노선
전곡시외버스터미널 - 농협사거리 - 전곡리선사유적지 - 한탄강유원지 - 고능리 - 성지금속 - 늘목2리 - 구보건소앞 - 순박골.늘목1리 - 황방리고개 - 조소앙선생기념관입구 - 봉암저수지 - 용바위골 - 한산2리마을회관 - 남면소방서 - 신리.막은골삼거리 - 고의원앞 - 구)신산약방 - 신산리공원
연천군 일반형버스 18-2번
기점
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(전곡시외버스터미널)
종점
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(신산리공원)
종점행
첫차
09:40
기점행
첫차
10:15
막차
17:00
막차
17:45
배차간격
1일 4회
운수사명
인가대수
-대[1]
노선
전곡시외버스터미널 - 농협사거리 - 전곡리선사유적지 - 한탄강유원지 - 고능리 - 성지금속 - 적암삼거리 - 적암초등학교 - 어유1리 - 적암초등학교 - 적암삼거리 - 늘목2리 - 구보건소앞 - 순박골.늘목1리 - 황방리고개 - 조소앙선생기념관입구 - 봉암저수지 - 용바위골 - 봉암터미널.봉암리 - 한산2리마을회관 - 남면소방서 - 신리.막은골삼거리 - 고의원앞 - 구)신산약방 - 신산리공원
연천군 일반형버스 18-3번
기점
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(전곡시외버스터미널)
종점
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(신산리공원)
종점행
첫차
06:50
기점행
첫차
08:15
막차
06:50
막차
08:15
배차간격
1일 1회
운수사명
인가대수
-대[2]
노선
전곡시외버스터미널 - 농협사거리 - 전곡리선사유적지 - 한탄강유원지 - 고능리 - 성지금속 - 적암삼거리 - 적암초등학교 - 어유1리 - 37번 국도 - 구읍1리.관골 - 구읍3리 - 적성우체국 - 적성전통시장 - 적성우체국 - 구읍3리 - 구읍1리.관골 - 37번 국도 - 어유1리 - 적암초등학교 - 적암삼거리 - 늘목2리 - 구보건소앞 - 순박골.늘목1리 - 황방리고개 - 조소앙선생기념관입구 - 봉암저수지 - 용바위골 - 봉암터미널.봉암리 - 한산2리마을회관 - 남면소방서 - 신리.막은골삼거리 - 고의원앞 - 구)신산약방 - 신산리공원

2. 개요 [편집]

전곡읍과 신산리를 잇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8번 42.2km, 18-1번 39.9km, 18-2번 50.3km, 18-3번 90.0km이다.

3. 역사 [편집]

  • 2014년 8월 9일에 신설되었다. 이때 당시에는 18번만 운행되었다.
  • 2016년 7월 24일에 봉암터미널을 경유하지 않는 18-1번과 어유지리 경유 지선이 신설되었다
  • 2017년 4월 23일 관인교통의 버스영업 중단으로 해당노선의 운행도 중단되었다.
  • 2024년 10월 1일에 운행을 재개했으며, 이전과는 달리 적성까지 경유하는 18-3번이 신설되었으며 어유지리 지선은 18-2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았다.

4. 특징 [편집]

  • 해당노선의 개통으로 인하여 안그래도 수요가 처참했던 832번의 수요가 더 나락으로 가 완전히 관짝에 들어가기 일보직전까지 갔다.
  • 운행횟수가 적은 동두천 56-3번과 연천 82-3번을 보조하는걸 넘어서 완벽히 대체하기 때문에 전곡 - 늘목리 수요가 존재하고 게다가 신산리와 전곡을 환승없이 잇는 최초의 노선이기 때문에 수요가 없진 않다.
  • 저상버스가 운행되기 조금 무리가 있는 황방리고개를 지나는 관계로 NEW BS106으로만 운행되고 있다.
[1] 18번 차량으로 운행.[2] 18번 차량으로 운행.

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,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.

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,
실제 기업이나 인물,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.